🔒 안전한 팝업 허용 사이트 선별 방법
✅ 1. 반드시 허용해야 하는 경우
다음과 같은 공식적인 서비스는 팝업이 정상 기능에 필수적입니다.
-
은행 / 카드사 / 증권사: 인터넷 뱅킹, OTP 인증, 공인인증서 로그인
-
공공기관: 정부24, 홈택스, 민원24, 국민건강보험, 지방자치단체 사이트 등
-
공식 결제 서비스: 네이버페이, 카카오페이, 페이코, 해외 결제(PayPal 등)
👉 이 경우에는 **해당 도메인(예: *.bank.co.kr, *.gov.kr 등)**만 허용
✅ 2. 허용 시 주의할 경우
-
온라인 쇼핑몰: 일부는 정상 결제 팝업이 필요하지만, 광고성 팝업도 포함될 수 있음
-
기업 내부 시스템: 보안 인증을 위한 팝업은 허용해야 하지만, 외부 연계된 광고 팝업은 차단
👉 반드시 사이트가 https:// 로 시작하고, 공식 도메인인지 확인
✅ 3. 절대 허용하면 안 되는 경우
-
성인광고, 불법 다운로드, 무료 영화/스포츠 중계 사이트
-
출처 불명 URL (예:
random123.click
,ad-service.net
) -
보안 프로그램 설치를 강요하는 의심 사이트
👉 이런 사이트의 팝업을 허용하면 악성코드 설치 / 개인정보 탈취 위험이 큼
📝 팝업 허용 전 체크리스트
-
도메인 신뢰성:
.go.kr
,.bank
,.co.kr
,.com
(공식 기업)인지 확인 -
보안 연결 여부: 주소창에 🔒 자물쇠 아이콘 있는지 확인
-
목적 확인: 결제, 로그인, 인증처럼 꼭 필요한 상황인가?
-
출처 확인: 메일·메신저로 온 링크를 눌러 발생한 팝업은 위험
-
반복 여부: 같은 사이트에서 계속 불필요 팝업이 뜬다면 허용 X
🔑 결론
-
무조건 전체 허용 ❌ → 꼭 필요한 은행/공공기관/공식 결제 사이트만 허용
-
의심 사이트는 허용하지 말고 즉시 차단
-
팝업이 필요한 경우에도 항상 **도메인·보안 연결(https)**을 먼저 확인